엉덩이가 무거운 개발자
김태훈입니다.

무엇이든 창의적으로 똘기있게 사고합니다.

🔧 기술 스택


Backend

  • FastAPI, Flask, SqlAlchemy
  • ASP.NET Core, Entity Framework Core
  • NestJS, Prisma
  • MySQL, AWS RDS

Frontend

  • React.js, Blazor, Flutter
  • Emotion, styled-components

🪪 자격증


  • AWS Certified Cloud Practitioner (2024.04)
  • 네트워크관리사 2급 (2024.04)
  • 리눅스마스터 2급 (2023.06)
  • 정보처리기능사 (2023.04)

🏅 수상 이력


지난 프로젝트


개인 프로젝트

~

python-kis

📈 파이썬 한국투자증권 REST 기반 Trading API 라이브러리

2022.10 ~

사용 기술

Python, OOP

이런 걸 했어요.
  • 다양한 증권사의 OpenAPI 중 가장 접근성이 좋고 플랫폼 독립적인 한국투자증권 RESTful API를 파이썬으로 추상화했어요.
  • 구글에 '한국투자증권 파이썬' 검색 시, 1위를 차지하며 5,000명 이상의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어요.
  • 현재 v2를 개발 중이며, API의 한계를 교차 쿼리로 해결하고, 국내 및 해외 통합 조회를 갖춘 더욱 강력한 라이브러리를 만들고 있어요.

한움

Backend Developer

2023.09 ~

한세인의 필수 앱 '한움'

한세의 모든 정보를 알려주는 한세 도우미 앱, 한움

2023.09 ~

주요 기능
  • 시간표: 각 학급의 시간표를 NEIS API를 통해 실시간으로 보여줘요.
  • 급식표: 오늘의 급식과 월간 급식을 알려주고, 매일 아침 알림을 보내줘요.
  • 학사일정: 학교에서 진행하는 행사나 시험 일정을 알려줘요.
  • 커뮤니티: 학생들이 자유롭게 글을 쓰고, 사진을 공유하며, 소통할 수 있어요.
  • 축제: 한세어울림한마당 일정과 이벤트를 알려주고, 랜덤 뽑기, 투표 등 다양한 기능을 디지털화했어요.
  • 한움페이: 한세어울림한마당 부스에서 사용하는 QR 결제 서비스를 제공해요.
사용 기술

FastAPI, ASP.NET Core, MySQL, gRPC, Docker, GitHub Actions

이런 걸 했어요.
  • 한세사이버보안고등학교의 전교생이 사용하는 학교 대표 앱 '한움'을 개발했어요.
  • 한움의 커뮤니티, 축제, 결제 등 주요 기능을 기획, 디자인, 개발했어요.

+4

한움 대나무숲

교내 학생, 교직원, 졸업생들을 위한 커뮤니티 서비스

2024.03.08 ~ 2024.03.18

사용 기술

ASP.NET Core, MySQL, gRPC, Docker, GitHub Actions

이런 걸 했어요.
  • 개학 후, 신입생 친구들이 '한움' 앱을 설치하고, 주기적 방문을 유도하도록 커뮤니티 기능을 10일 이내에 빠르게 개발했어요.
  • 서버와 데이터베이스 부하를 줄이기 위해 모든 트랜잭션을 1 Query로 처리하도록 최적화했어요.
  • 커뮤니티 특성상 미디어 요청 잦아, 이미지를 썸네일과 고화질 사진으로 분리, 압축하여 부하를 줄였어요.

+1

한움페이

한세어울림한마당 QR 결제 서비스

2023.09.09 ~

사용 기술

ASP.NET Core, Blazor, MySQL, Redis, gRPC, Docker, GitHub Actions

이런 걸 했어요.
  • 한움페이 결제 시스템의 백엔드와 데이터베이스 설계 등 모든 부분을 담당했어요.
  • 트랜잭션의 무결성과 다중 처리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MySQL Procedure를 이용하여 결제를 처리했어요.
  • 학급 부스들의 수익금을 모두가 실시간으로 볼 수 있도록 통계 대시보드를 구현했어요.

+3

한세 어울림 한마당

IT학교다운 축제를 위한 서비스

2023.09.26 ~ 2023.09.27

사용 기술

FastAPI, MySQL, gRPC, Docker

이런 걸 했어요.
  • IT학교다운 축제를 위해 투표와 이벤트 추첨 등 다양한 기능을 앱으로 디지털화했어요
  • 이전 축제에서는 학생들이 리플렛을 아무 곳에나 버려서 문제가 있었어요.
    올해는 리플렛을 가지고 있어야지만 참여할 수 있는 이벤트 추첨을 통해 리플렛을 버리지 못하도록 유도했어요.
  • 운영 당일 약 20,000건의 BE 요청과 1,500건의 결제가 있었고, 혹여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추적하기 위해 계속 모니터링을 진행했었어요.

+2


미니마

플랜트 렌즈 Team Leader

2022.05 ~ 2022.10

AI 식물 관리 플랫폼 '미니마'

STA+C 2022 생활부문 대상(중소벤처기업부 장관상) 수상작

2022.02 ~

미니마는 코로나19 팬데믹과 높아지는 농산물 가격으로 인해 식물을 취미로 기르는 사람들을 타겟팅한 통합 식물 관리 플랫폼이에요.

주요 기능
  • AI 식물 진단: 식물을 촬영하면 AI가 사진을 분석하여 키우는 방법과 다양한 가드닝 정보를 알려주고, 질병이 감지되면 정확한 병명과 해결하는 방법을 알려줘요.
  • 가드닝 다이어리: 식물의 하루 하루 성장 과정을 기록하고, 건강 상태와 물을 언제 주어야 하는지, 어떻게 해야하는지 등의 스케줄 정보를 알려줘요.
  • 나를 알아주는 마켓: 가드너의 환경에 딱 맞는 식물, 영양제 추천 등 마켓을 자연스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들었어요.
사용 기술

Flutter, FastAPI, MySQL, PyTorch, YOLOv5

이런 걸 했어요.
  • 프로젝트의 기획부터 개발, 마케팅까지 모두 담당했어요
  • AIHub에서 제공하는 약 20만 장의 식물 이미지 데이터 셋을 사용해 식물 질병 분류 모델을 학습했어요
  • 모델의 효율과 성능을 높이기 위해 3가지 단계로 전문가 모델을 선택하며 식물을 분석하도록 만들었어요.
    첫 번째 단계는 YOLOv5를 사용해 식물과 부위를 인식하고, 두 번째 단계는 부위별로 외관적 문제를 분류했고, 세 번째 단계는 각 식물과 부위별 전문 모델로 질병을 분류했어요.
  • 2022 STA+C 생활부문 대상(중소벤처기업부 장관상)을 수상했어요.

+8


보안관제

동아리 운영 및 웹보안/개발

2022.03 ~

2023 보안관제 정보 보안 콘테스트

보안관제 주최 정보 보안 콘테스트 CTF 플랫폼 개발

2023.06.02 ~ 2023.09.25 (이후 유지보수)

사용 기술

Flask, Jinja, Alpine.js, MySQL, Docker

이런 걸 했어요.
  • CTF 문제 출제 및 인프라와 플랫폼 개발을 담당했어요.
  • 대상 서버에 직접 접근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개인화 컨테이너 문제를 올릴 수 있도록 했어요.
  • 실제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 취약점을 이용한 문제를 출제했어요.

+3


한세톤

Team Leader

2022 ~ 2023

2023 한세톤 '우리, 같이'

한세사이버보안고등학교 교내 해커톤 2등 수상작

2023.07.20 ~ 2023.07.21

사용 기술

Node.js, React, Next.js, Prisma, MySQL

이런 걸 했어요.
  • 한세톤에서는 24시간 동안 진행되는 해커톤에서 '우리, 같이'를 기획, 개발, 발표했어요.
  • 제가 실제로 겪었던 문제와 해결방안으로 기능을 기획했고, 최대한 단순한 UI로 디자인했어요.
  • 개발 속도를 높이기 위해 웹 PWA를 사용하여 개발했어요.

+6

2022 한세톤 'Air Trackpad'

한세사이버보안고등학교 교내 해커톤 2등 수상작

2022.07.20 ~ 2022.07.21

사용 기술

Python, MediaPipe

이런 걸 했어요.
  • 한세톤에서는 24시간 동안 진행되는 해커톤에서 'Air Trackpad'를 기획, 개발, 발표했어요.
  • MediaPipe를 사용해 손의 움직임을 인식하고, 손가락의 접힘에 따라 마우스의 모든 기능을 구현했어요.

+3


개인 프로젝트

~

NUMC

키보드 레이아웃을 변경하거나 키 기능을 개조합니다

2020.08.18 ~

사용 기술

C#, Windows Forms, Win32 API

이런 걸 했어요.
  • NUMC는 왼손잡이인 사람들이 그림을 그릴 때, 단축키를 좀 더 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었어요.
  • 특히 학원 처럼 내 컴퓨터가 아니거나 특수한 키보드가 아니더라도 사용할 수 있도록 포터블 프로그램으로 만들었어요.
  • 단순한 키 바인딩 부터 플러그인을 사용해 확장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었어요.

+2